본문 바로가기
몸연구소/공부 요약

<자세와 통증 치료에 있어서 근육의 기능과 검사 북리뷰> 2. 자세(Posture) 7편 - 자세 검사

by 바디몰드 2021. 1. 26.
반응형

자세검사

 

 

서 있는 자세에서의 정렬(Alignment in standing)

 

전면(Anterior view)

 

- 발, 무릎, 다리의 위치를 검사

 

- 발가락의 위치 종족궁의 형태, 발의 회내와 회외 상태에서의 검사

 

- 글개골의 위치로 본 대퇴골의 회전, 내반슬 또는 외반슬 검사

 

- 머리의 회전 늑골의 비정상적인 모습 검사

 

측면(Lateral view)

 

- 전체 몸과 추선과의 관계를 관찰

 

- 잘못된 회전을 발견하기 위해 양쪽에서 관찰

 

- 무릎이 관찰

 -> 과신전

 -> 굴곡

 

- 골반의 위치 검사

 -> 척추의 전후방 곡선이 정상인지 확인

 

- 머리

 -> 전방을 향하는지

 -> 위쪽이나 아래쪽으로 기울어져 있는지 

 

- 가슴

 -> 하강

 -> 거상

 

- 복벽의 윤곽 검사

 

후면(posterior view)

 

- 종골건의 정렬 확인

 

- 고관절의 내전 또는 외전 확인

 

- 후상장골극의 상대적 높이

 

- I측면 골방경사

 

- 척추측면 편위

 

- 어깨와 견갑골의 위치 

 

유연성 검사와 근육길이 검사(Test for flexibility and muscle length)

 

- 앞으로 구부리기(Forward bending)

 -> 서있는 자세보다는 앉은 자세에거가 좀더 정확

  =>서있는 자세에선 골반회전이나 측면골반경사가 있을 수 있음

  =>요추회전이 발생해 서 있는 자세에서 유연성 제한 될 수 있음

 

- 팔을 머리 위로 들어올리는 검사(arm overhead elevation)

 

- 체간을 뒤로 구부리는 검사(backward bending)

 -> 서있는 자세에서 진행

  => 과신전이 제한되면 무릎을 구부리는 보상이 있음

 

근육 강도검사(Muscle strength tests)

 

- 필수 근육검사 부위

 -> 상부

 -> 하부

 -> 대각선 복부근육

 -> 외측 체간굴근

 -> 요부 신근

 -> 중간 하부 승모근

 -> 전거근

 -> 중둔근

 -> 대둔근

 -> 슬굴곡근

 -> 고관절 굴근

 -> 가자미근

 -> 무지굴근

 

- 전후방 편위의 문제

 -> 복부근육

 -> 등근육

 -> 고괄절 굴극

 -> 고관절 신근

 -> 가자미근

 

- 척추의 최측 편위나 골반의 외측 경사문제

 -> 외복사근

 -> 외측 체간굴근

 -> 중둔근

 

검사 결과 해석(interpretation of test findings)

 

- 자세에 문제가 있을 경우

 -> 정렬검사

  => 잘못된 신체구조를 검사

 ->근육검사

  => 위의 검사를 확인하는데 사용

 

- 두 검사 결과가 일치 하지 않는 경우 발생 할 때

 -> 이수 유형

 -> 오래전에 입은 상처나 질병

 -> 최근 앓았던 질병이나 상처가 기존의 불균형 양상을 악화

 

 

올바른 자세와 잘못된 자세 (요약)

 

 

- 올바른 자세

 -> 서 있을 때 종축 아치는 돔의 절반 정도의 모양을 지님

 -> 발뒤꿈치가 없거나 맨발일 때, 발은 약간 발가락 바깥쪽으로 향함

 -> 발뒤꿈치가 있는 신발에서는 평행

 -> 발뒤꿈치와 상관없이 보행에서 발은 평행

  => 무게는 발 두덩이의 바깥면을 따라 발뒤꿈치로 전달

 -> 부목이 있을 때 발은 평행하게 있거나 약간 발가락 안쪽으로 향함

 -> 무게는 발뒤꿈치가 지면에 닳지 않기 때문에 발 두덩이와 발가락으로 전달

 

- 잘못된 자세

 -> 낮은 종축 아치나 편평발

 -> 낮은 중족골(metatarsal) 아치가 발 두덩이 아래 가골(calluses)을 보인다

 -> 무게가 발의 안쪽 면에 전달된다(회내 : pronation)’발목이 안으로 돈다’

 -> 무게가 발의 바깥 면에 전달됨 (회외 : supination) ‘발목이 바깥으로 돔’

 -> 보행하거나 발뒤꿈치가 있는 신발을 신고 서 있는 동안 발가락이 바깥으로 향함

 -> 보행하거나 서 있는 동안 발가락이 안으로 향함

 

발가락

 

- 올바른 자세

 -> 발가락을 곧게 해야 함

 -> 발에 있는 선에서 앞쪽으로 신전

  => 함께 조여지거나 겹쳐짐

 

- 잘못된 자세

 -> 발가락이 첫번째 관절에서 위로 구부러지고 중간 관절에서 아래고 구부러짐

  => 무게가 발가락 끝에 실림

    >> 너무 작은 신발과 연관

 -> 엄지발가락은 발의 중간을 향해 안으로 기울어짐 (모지 외반증 : hallux valgus)

  => 너무 좁은 신발을 싣는 것과 연관

 

무릎과 다리

 

- 올바른 자세

 -> 다리는 위와 아래로 곧게 되

 -> 슬개골은 똑바르게 놓여 있음

 -> 측면에서 무릎은 곧게 되어 있음

 

- 잘못된 자세

 -> 발이 멀리 떨어졌을 때 무릎이 접촉 됨 (외반슬 : knock-knee)

 -> 발이 접촉될 때 무릎이 멀리 떨어짐 (내반슬 : bowlegs)

 -> 무릎이 약간 뒤로 굴곡 됨 (과신전된 무릎) ‘Back-knee’

 -> 무릎이 약간 앞으로 구부러짐 (굴곡된 무릎)’실제보다 더 똑바르지 않음’

 -> 슬개골이 서로를 향해 약간 마주봄(내측으로 대퇴골이 회전됨)

 -> 슬개골이 약간 바깥을 향함(외측으로 대퇴골이 회전됨)

 

고관절, 골반 그리고 척추(후면에서)

- 올바른 자세

 -> 체중은 양발에 균등하게 지지

 -> 고관절은 같은 높이에 있어야 함

 -> 한쪽 고관절은 다른 쪽보다 더 앞으로 또는 뒤로 향하지 않음

 -> 척추는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굽혀지지 않음

 

- 잘못된 자세

 -> 한쪽 고관절은 다른 쪽보다 높음

 -> 한쪽이 반대쪽보다 더 앞으로 향함

  =>시계 방향이나 반대 시계방향으로 회전

 

척추와 골반(측면)

 

- 올바른 자세

 -> 골반과 대퇴의 전면은 곧은 선임

 -> 엉덩이가 등보다 나오지 않고 약간 밑으로 경사짐

 -> 목과 허리리의 곡선은 앞으로 향함

 -> 등 상부와 척추의 가장 밑 부분의 곡선은 뒤로 향함

 -> 천추 곡선(Sacral curve)은 고정된 곡선임

 

- 잘못된 자세

 -> 허리가 심하게 앞으로 아치를 이룸(척추 측만증)

 -> 골반이 심하게 앞으로 경사를 이룸

  => 대퇴의 전면은 골반과 함께 각을 형성

 -> 허리의 곡선이 곧음

  => 골반은 굽은 등 자세와 편평 자세처럼 뒤로 기움

 -> 등 상부에서 곡선이 뒤로 증가(척추 후만증이나 둥근 등 상부)

 -> 목에서 전만 곡선이 증가

  => 머리가 앞으로 향함

  => 둔근 상부가 올라옴

 -> 허리의 측면 곡선(척추 측만증)

  => 한쪽 방향(C형 곡선)

  =>양쪽 방향(S형 곡선)

 

복부

 

- 올바른 자세

 -> 10세 이상의 어린이의 경우 정상적으로 복부가 튀어나옴

 -> 나이 많은 사람들과 어린이들의 복부는 편평

 

- 잘못된 자세

 -> 복부 전체가 튀어 나와 있음

 -> 복부 하부가 튀어나와 있음

  => 상부는 안으로 당겨져 있음

 

가슴

 

- 올바른 자세

 -> 위쪽 그리고 앞쪽으로 향함

 -> 최대 흡기와 무리한 호기 사이의 중간 지점에 대략 위치

 

- 잘못된 자세

 -> 함몰된 자세(움푹 꺼진 가슴)

 -> 너무 높이 올리고 떠받쳐서 등이 아치를 이루도록 하는 자세

 -> 늑골이 다른 쪽보다 한쪽으로 두드러짐

 -> 하부 늑골은 불룩하거나 튀어나와 있음

 

팔과 어깨

- 올바른 자세

 -> 몸을 향해서 손바닥이 보인 채로 양 옆에 놓음

 -> 팔꿈치는 약간 구부러지고 전완은 약간 앞으로 향함

 -> 어깨는 같은위치

  => 옆에서 볼 때 한쪽이 앞이나 뒤로 가있지 않음

 -> 견갑은 늑골 우리에 편평하게 놓임

 -> 겹갑골의 사이는 평균 약 4인치 정도 떨어져 있음

 

- 잘못된 자세

 -> 팔은 앞으로나 뒤로 또는 몸으로부터 멀리 위치해 있음

 -> 팔이 뻣뻣하게 유지함

 -> 손바닥이 뒤로 향해 돌아가 있음

 -> 한쪽 어꺠가 다른쪽보다 높음

 -> 양쪽 어깨가 위로 올라감

 -> 한쪽 또는 양 어깨가 앞으로 처지거나 경사 져 있음

 -> 어깨가 시계 방향으로나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

 -> 견갑골이 너무 뒤로 당겨져 있음

 -> 견갑골이 너무 멀리 떨어져 있음

 -> 익상경갑

 

머리

 

- 올바른 자세

 -> 올바른 균형에서 머리가 직립으로 유지

 

- 잘못된 자세

 -> 턱이 심하게 올라감

 -> 머리가 앞으로 튀어나옴

 -> 머리가 한쪽으로 기울거나 회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