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몸연구소/공부 요약

<자세와 통증 치료에 있어서 근육의 기능과 검사 북리뷰> 2. 자세(Posture) 5편

by 바디몰드 2020. 7. 20.
반응형

잘못된 자세 : 측면과 후면 

 

 

 

 

 

 

 - 사진 A

 ->후면은 정상이나 측면 자세가 잘못된 경우

 ->측면 자세는 심각한 분절성 문제

 

 

- 사진 B

 ->잘못된 측면 자세와 후면 자세

 ->후면

  =>오른쪽으로 편위

  =>오른쪽 고관절이 높음

  =>오른쪽 어깨가 낮음

 ->측면

  =>무릎이 과신전

  =>골반, 체간, 머리는 전방으로 나옴

  =>척추의 전후방 곡선이 과함

 

 

어깨와 견갑골

 

 

 

 

 

 

- 어깨와 견갑골, 올바른 위치

 ->어깨와 견갑골의 위치가 바름

 ->견갑골이 흉곽에 편평하게 퍼져 있는 상태

 ->각도나 경계 부분이 지나치게 드러나지 않음

 

 

 

 

 

- 견갑골, 외전되고 약간 거상

 ->양쪽 견갑골이 외전되어 있음

  =>왼쪽이 오른쪽보다 심함

 ->양쪽 견갑골이 약간 거상된 상태

 ->견갑골이 거상되면 어깨와 등 상부가 둥글게 휨

 

 

 

 

 

- 어깨는 거상되고 견갑골은 내전

 ->양 어깨가 거상됨

 ->오른쪽이 왼쪽보다 조금 더 높음

 ->견갑골은 내전된 상태

 ->상승모근과 다른 어깨 거근들은 긴장된(tight) 상태

 

 

 

 

 

- 어깨는 하강되고 견갑골은 외전

 ->양 어깨가 심하게 쳐져 있음

  =>견갑골이 심하게 외전된 것도 이러한 이유임

 ->어깨의 잘못된 자세를 바로잡는 방법

  =>승모근, 특히 상부 근육을 강화하기 위한 운동이 필요

 

 

 

 

 

- 견갑골, 내전되고 거상

 ->견갑골이 완전히 내전된 상태에서 상당히 거상 됨

 ->지속적인 습관에 의한 자세    

  =>어깨를 이완시키려 해도 견갑골이 제자리로 돌아오지 않음

  =>어깨를 뒤로 젖히는 군사훈련을 받다 보면 어쩔 수 없음

 

 

 

 

 

 

- 견갑골, 비정상적 형상

 ->견갑근의 일부가 비정상적으로 발달

  =>견갑골이 위치를 잘못 잡은 형상

 ->대원근과 능형근은 V형의 하각(inferior angle)에서 선명하게 드러남

 ->견갑골의 회전으로 액와연(axillary border)이 정상보다 수평에 가까움

 ->전거근이나 승모근 또는 둘다 약화되었음을 알 수 있음

 

 

 

 

 

- 내전되고 약간 들린 견갑골

 ->견갑골이 약간 돌출되어 있는 모습을 하고 있음

 ->8) 또래의 어린아이들에게 흔히 보임

  =>약간 튀어나오거나 외전된 것은 문제가 되지 않음

 

 

 

 

 

- 외전된 견갑골과 앞으로 구부러진 어깨

 ->어깨가 앞으로 구부러진 자세

  =>가슴이 발달하는 시기인 어린 소녀에게 많이 나타남

 

 

발과 무릎의 올바르고 잘못된 자세

 

 

 

 

             

 

- 발과 무릎의 올바른 정렬

 ->슬개골이 전면을 향함

 ->회내나 회외가 보이지 않음



 

 

 

- 발의 회내와 대퇴골의 내측 회전

 ->외측 복사뼈와 발판사이의 거리

  =>발이 약간 회내

 ->슬개골의 위치는 대퇴골이 내측으로 약간 회전

 

 

 

 

 

- 발의 회내와 외반슬

 ->양발이 약간 회내

 ->약간 외반슬이나, 내측 또는 외측의 회전은 발견할 수 없음

 

 

 

 

 

- 올바른 발, 잘못된 무릎

 ->발은 매우 올바른 정렬

 ->슬개골 위치

  =>대퇴골이 내측 회전

 ->내측 회전을 동반한 회내의 경우보다 신발을 이용한 교정이 어려움

 

  

 

 

 

- 회외된 발

 ->양발의 외측연(outer borders)에 체중이 실림

 ->족궁이 높음

 ->발판에 발바닥 외측연에는 닿지 않음

 ->전경골근이 튀어나와 발을 내반시키려는 것처럼 보임

 

 

 

 

 

- 다리의 외측 회전

 ->고관절이 외측 회전

 ->소녀보다는 소년에게 발생

 ->종족궁에 불필요한 힘을 주게됨

  =>심각한 결과를 유발하지 않음

 

 

 

 

 

- 무릎의 올바른 정렬

 ->측면에서 보았을때 

  =>추선이 무릎관절 축의 약간 앞쪽을 통과함

 

 

 

 

 

- 완반한 무릎 굴곡

 ->굴곡보다는 과신전이 자주 발생함

 ->굴곡된자세

  =>대퇴사두근에 계속해서 힘이 가게 됨

 ->서 있는 자세에서의 무릎 굴곡

  =>고관절 굴근의 긴장에서 발생 됨

 ->고관절 굴근의 긴장으로 인한 보상작용

  =>무릎이나 요추 또는 두군데 모두 정렬상의 결함 발생

 ->서있는 상태에서 무릎을 구부려 요추전만을 감소시키는 것

  =>고관절 굴근의 스트레칭이 필수

 

 

 

 

 

- 무릎의 과신전

 ->발목관절이 족저굴곡상태에 놓이게 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