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몸연구소/공부 요약

<자세와 통증 치료에 있어서 근육의 기능과 검사 북리뷰> 2. 자세(Posture) 6편 - 내반슬 / 외반슬 / 앉은 자세

by 바디몰드 2020. 9. 7.
반응형

자세적 내반슬과 외반슬

 

 

 

 

 

 

이상적인 정렬(ideal alignment)

 ->고관절이 중립위치에 있음

 ->슬개골이 정확하게 전방을 향함

 ->무릎관절의 축은 관상면 내에 있음

 ->시상면 내에서 굴곡과 신전이 이루어짐

 ->두 발은 올바른 정렬

 

 

 

 

 

 

- 내반슬 자세(postural bowlegs)

 ->대퇴골의 내측 회전

 ->양발의 회내

 ->무릎의 과신전이 복합적인 작용하여 발생

 ->대퇴골이 내측 회전

  =>굴곡과 신전의 축은 관상면에서 비스듬하게 위치

  =>이 축에서부터 후측면으로 과신전이 발생

 ->무릎이 벌어지고 하퇴가 심하게 기울게 됨

 

 

- 외반슬 자세(kenock-knees)

 ->대퇴골의 외측 회전

 ->양발의 회외

 ->무릎의 과신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

 ->외측 회전

  =>무릎의 축이 관상면에서 비스듬하게 위치

 ->과신전

  =>무릎이 내전

 

 

 

 

 

 

외반슬을 보상하는 내반슬 자세

 

 

 

- 외반슬을 보상하는 내반슬 자세의 메커니즘

 ->사진 A 

  => 전후면 무릎의 올바른 정렬 상태

  =>외반슬 (knock-knees) 자세

 ->사진 B

   =>무릎을 과신전시킴

      >사진 A를 교정하려 내반슬 자세를 취함

 ->내반슬 자세와 외반슬 자세

  =>무릎의 굴곡과 함께 회전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

     >외측 회전과 약간의 굴곡으로 외반슬처럼 보이게 됨

     >내측 회전과 약간의 굴곡으로 외반슬처러 보이게 됨

  =>굴곡과 관련된 변형은 과신전과 관련된것에 비해 문제가 덜 됨

     >과신전은 비정상적인 움직임이기 때문

 

앉은 자세

 

 

- 앉은 자세에서 신체의 올바른 정렬을 유지

 ->자세로 인한 문제와 연관된 통증을 줄이거나 예방할 수 있음

- 사진 A 

 ->올바른 정렬

사진 B 

 ->척추전만으로 보임

 ->실수로 올바른 자세로 간주되곤 함

 ->등 근육들이 피로해짐

사진 C

 ->구부정한 자세(Slumped position)

 ->허리를 지탱하지 못해 긴장을 초래

 ->등 상부와 목, 머리의 잘못된 자세를 초래

바르게 앉기

 ->의자의 높이와 깊이가 각 개인에게 유용할 수 있도록 해야함

 ->발이 바닥에 편안하게 쉬도록 하는 높이

 ->대퇴 뒤에 압력을 피해야 함

 ->고관절과 무릎은 약 90도 정도 유지

 ->의자의 등은 약 10도 정도 경사져야 함

- 허리 부위를 지지하는 앉는 자세는 허리 곡선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음

 ->바람직하지 않음

- 너무 큰 각도로 등이 경사지는 회전 의자에서 오랜 시간 앉아 있을 경우

 ->등 상부와 머리의 잘못된 자세로 이어질 수 있음

의자의 팔걸이가 높은 은자

 ->어깨가 위로 밀리게 됨

장시간 앉아 있을 때

 ->고관절, 무릎, 등을 굴곡된 상태로 유지됨

  =>스트레칭이 필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