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몸연구소/공부 요약

<자세와 통증 치료에 있어서 근육의 기능과 검사 북리뷰> 1. 기본개념 1편

by 바디몰드 2020. 7. 3.
반응형

안정성과 가동성(Stability or Mobility) 

 

 

 

유연기에서 장년기의 성장 과정에서 인대조직은 견고 해지고 근육의 유연성이 줄어듬

 ->유년기 보다는 장년기에 더 큰 안정성과 강한 힘을 제공

 

 

이완된 인대조직을 가진 사람은 안정성을 가지지 못 함

 

 

근육은 인대가 제공하는 움직임과 보조대 역할 모두 수행을 못함

 -> 굴곡 상태에서 척추의 안정성 부족

   => 앉아서서 일하거나 서서 일할 경우, 물건을 들어 올리거나 옮길 시 문제를 야기

   =>증상으로는 먼저 피로 해짐

   =>다음으로는 통증으로 나타남 

 

 

- 정렬성과 가동성에 관련하여 두가지 잘못

 ->관절 표면에 지나친 압박과 뼈와 인대 혹은 근육에 지나친 긴장 (정렬성)

   =>뼈에 대한 변화 두 가지 유형

    >과도한 압박은 과절 표면에 침식 효과를 일으킴

    >견인은 붙어 있는 부위에서 뼈의 성장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가져옴

 ->가동성의 부족은 지나친 압박을 가하는 요소

   =>지속적으로 잘못된 정렬 상태와 밀접하게 관련이 있음

    >가동성이 없어지면 뻣뻣함이 생기고 잘못된 자세를 같게 됨

 

 

- 근육의 경직성은 지속적으로 존재하는 요소

  ->잘못된 정렬 상태에서 일부분을 그대로 유지하려는 경향이. 있음

 

 

- ROM이 제한적일. 경우

  ->사용되는 범위 내에 있는 관절의 표면에만 마모가 생김

 

 

- 관절의 일부분이 근육의 경직으로 인해 제한

 ->제한이 긴장을 대신하여 다른 부위의 어떤 동작에 대항하여 보호 받음

 

 

- 과도한 관절 가동성

 ->가동범위에 제한이 있는 인대에 긴강

 ->관절 표면의 가장자리에 지나친 압박을 가하는 결과를 가져옴

 

 

근육의 역할(Role of Muscles)

 

 

 

- 근육은 운동 외에 골격을 지탱하는 주요한 역할을 함

 ->정상적인 활동을 할 수 있을 만큼 길어야 함

 ->안정성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을 만큼 짧아야 함

 

 

- 긴장된 근육으로 인한 운동범위 제한

 ->스트레칭

   =>점진적, 약간 불편함을 느낄 정도

   =>통증을 느끼지 않게 함

 

 

- 정상적인 운동 범위를 초과한 경우

 ->스트레칭을 피하는 것이 가장 중요

 

 

- 신경근육에 문제가 많은 상태는 근육이 약한 것으로 분류

 

 

신경압박과 긴장(Nerve Compression and Tension)

 

 

 

- 외상은 신경에 압박을 가하는 외력(External force)으로부터 발생

 

 

- 신경에 긴장이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외상은 상완신경초에서 발생

 


- 신경에 영향을 미치는 내압 또는 긴장

 ->일반적으로 단단한 골격 구조와 연결되어 있어 신경이 취약한 곳에서 발생

 ->조직에 부종이나 상처를 동반한 손상 또는 염증이 있다면 문제 발생의 원인이 됨

 

 

신경충돌(Nerve impingemnt)

 

 

 

- 충돌의 의미는 근육과 관련된 신경자극을 의미 함

 

 

- 근육 길이의 변화가 신경을 자극하는 원인 중 하나임

 -> 통증이나 불편한 증상

  =>근육을 능동적으로 수축시키거나 이완시키는 등의 반복적인 운동에 의해 경감

 

 

- 정상적인 상태나 운동범위일 때 

 ->근육은 그 근육을 통과 하거나 인접한 신경을 자극 하지 않음

 

 

- 팽팽해진 근육이 경직되면 압박이나 마찰을 유발할 수 있음

 

 

- 근육에 적응성 단축(adaptive shortness)

 ->근육의 운동범위가 줄어들고 정상적인 길이로 되돌아가기 전까지 팽팽해 짐

 ->신장된 근육은 팽팽해지기 전까지 정상범위 이상으로 움직임

 ->무게가 가해진 근육은 반복 운동시 신경과의 마찰을 유발할 수 있음

 

 

- 경미한 증례에서 근육이 수축되거나 이완되었을 때

 ->예리한 통증보다는 불편하고 둔한 통증이 나타남 

 

 

- 예리한 통증

 ->격렬한 운동에 의해 상쇄될 수 있음

 ->통증을 유발하는 움직임을 피하려 함

 

 

통증의 역학적 원인(Mechanical causes of pain)

 

 

 

- 통증은 신경의 반응으로부터 오는 것

 

 

- 통증감각은 신경에 의해 전달 됨

 

 

- 인체역학의 문제에 있어서 두 가지 원인

 ->신경에 대한 압박은 주의의 단단한 구조물에 의해 발생 됨

 ->변형에 민감한 신경단을 포함하고 있는 구조물에 긴장

  =>근육이나 건, 인대이 신장이나 긴장

 

 

- 부위를 따라 일어나는 통증 및 피부 감각 이상은 손상 부위를 판별할 수 있는 단서

 

 

- 말초신경은 감각신경과 운동신경을 포함

 ->손상된 신경이 지배하는 표피에무감각이나 약화가 나타나기 전 통증이나 쑤심

 

근육경련(Muscle spasm)

 

 

 

- 근육경련은 고통스런 신경자극 때문에 근육이나 근육분절에서 일어나는 불수의적인 수축

 

 

- 신경근이나 신경총 또는 말초신경지에서의 자극

 ->다수 근육에 경련을 야기

 

 

- 근육 내에 있는 신경단의 자극에 의한 경련

 ->근육에 국한되어 나타나거나 반사 통증의 메커니즘에 의해 퍼져나갈 수 있음

 

 

- 근육경련의 치료

 ->경련이 어떤 종류인가에 달려 있음

  =>신경근, 신경간 또는 말초신경지의 자극이 원인이 된 경련

     >신경자극의 원이이 되는 문제를 완화시켜야 가능 함

Ex) 급성 좌골 신경통

      온열치료, 마사지, 슬굴곡근 스트레칭을 피해야 함

  =>보호성 경련(protective spasm)

     >인대나 골격 같은 곳이 손상된 뒤 이차적 발생

     >고축(splinting : 손상 부위를 보호하려고 근육이 딱딱하게 굳음)

     >손상된 조직이 더이상 자극 받지 않고, 움직임을 예방하는 역할

     >보조대를 이용하여 치료

      >>비정상적인 근육기능을 완화시켜 줌

  =>분절성 근육경련(segmental muscle spasm)

     >근육의 손상에 의해 송상되지 않은 부분에 불수의적 수축 현상

      >>손상된 부위에 긴장을 가져 옴

      >>근육 내의 장력에 의한 통증은 근의 경계 부위 내에서 발생

      >>반사나 연관통 메커니즘에 의하여 확산 될 수 있음

     >치료를 위해서는 손상된 근육의 긴장이 완화되도록 고정 시켜야 함

      >>경련 부위를 마사지하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일 수 있음

  =>건의 손상으로 인한 긍육 경련의 경우 근육 부위가 아닌 건에서 일어남

     >건의 손상에 의한 통증은 일반적인 경우보다 훨씬 심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