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항 트레이닝을 통한 점진적인 근력 적응
-적응(Adaptation)
->신체에 가해지는 스트레스에 의해 일어나는 신체의 변화
=>저항 트레이닝 프로그램은 다양한 근력 적응을 이끌어내는 방향으로 이루어짐
-적응은 안정성, 근지구력, 근비대, 근력, 파워를 포함
안정성(Stability)
-모든 움직임 동안 올바른 자세를 유지
-관절에 최적의 동적안정화(Optimal dynamic joint stabilization)를 제공하기 위한 능력
-동작의 적절한 단계에서 알맞은 힘과 적절한 시간에 사용되는 운동사슬을 향상
-높은 수준의 근지구력이 필요
->구심성 힘생산을 증가
->편심성 힘을 감소
-통제도니 반복 트레이닝, 불안정한 운동
->신체를 안정화 하고 스스로 균형을 잡는 능력을 키움
-허리-골반-엉덩이로 이어지는 구조의 운동사슬을 안정화 시켜 팔, 다리를 효율적으로 사용
근지구력(Muscular endurance)
-낮은 수준의 근력을 장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는 능력
-코어(Core)와 관절 안정성을 향상하는데 도움
->코어의 근지구력을 위한 트레이닝은 자세 안정성을 위한 근육의 동원에 초점을 맞춤
-근비대와 근력 그리고 파워를 구축하는 기초가 됨
-반복을 많이 하는 저항 트레이닝 프로토콜은 근지구력 향상을 위해 효과적
-주기화 트레이닝은 구소 부위의 근지구력을 강화할 수 있음
->여러 세트로 시행하는 편이 근지구력을 향상하는데 효과적
근비대(Hypertrophy)
-저항 트레이닝을 통해 장력이 증가함에 따라 골격근이 커지는 것
-근원섬유 단백질(근세사섬유)의 증가로 인해 근섬유의 교차 부분이 늘어나서 일어남
-트레이닝 초기 단계에서 진행이 시작
-점진적 과부하에 따라 근비대로 이어짐
근력(Strength)
-신경근계가 신체 외부의 저항을 견디기 위해 내부장력을 생성하는 것
-내부 장력 생성의 정도는 근력적응의 결과
-근육의 최대근력을 증가시키는데 초점을 맞춤
-근력은 근육의 기능이 아닌 신경근계 활성화가 필수적
->중추신경계의 조절로 작용하기 때문
-증가된 근력에서 하나의 요인은 초기 운동 당위 동원의 수 증가
->고원현상에 도달할 때까지 신경 수요와 더 많은 근섬유를 동원 시킴
-유형II 섬유의 특성과 함께 설계
->실제적 변이성(세트, 횟수, 강도)은 각 섬유 유형의 구체적인 특성을 활용하여 조절
-근력 증가의 대부분은 증가된 신경 동원과 근비대로부터 저항 트레이닝의 첫 12주 동안 발생
파워(Power)
-아주 짧은 시간에 최대의 힘을 발휘하기 위한 신경근계의 능력
->파워=힘 X 속도
-파워 적응은 안정성 및 근력 적응, 현실적인 속도와 힘 적용에서 만들어짐
-신경근계가 최대한 빨리 힘을 생성하도록 하는 것
-힘이나 속도 둘 중 하나만 증가해도 파워는 증가 힘
-생성의 증가율
->활성화되는 운동단위의 수, 운동단위 간의 동기화 및 활성화 속도를 증가
-초기의 등속성 운동은 운동속도의 중요성을 강조
-높은 속도에서 이행되고 모든 움직임 속도는 트레이닝 속도보다 느림
SUMMARY
-저항 트레이닝을 통해 다양한 근력 적응을 얻을 수 있음
-근력
->신체 외부의 힘을 견디기 위해 신경근계가 내부장력을 발생시키는 능력
-트레이닝 적응은 안정성, 근지구력, 근비대, 근력, 파워로 나눔
-안정성
->저-중강도로 반복횟수를 늘려 자세의 안정성을 확보
->근지구력과 안정성을 얻을 수 있음
-근지구력
->비교적 낮은 수준의 근력을 장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는 능력
->많은 반복횟수 저항 트레이닝은 근지구력을 향상시키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근비대
->장력이 증가함에 따라 골격근이 커지는 것
->점진적 과부하에 따라 근비대로 이어지고 중간 반복 범위에서 낮게 사용
-근력
->내부 장력(뼈를 당기는 근육 내의 결합조직들)을 생성하는 것
->자신이 사용하는 트레이닝 기법에 따라 달라짐(특이성의 원리)
->근력 적응 단계
=>중-고강도의 부하를 저-중 수준의 횟수로 반복
->근육에 스트레스를 가해 운동단위의 기능을 향상
-파워
->최대한 짧은 시간 내에 가능한 최대의 힘을 발생시키는 것
->힘이나 속도 둘 중 하나만 증가시켜도 파워는 늘어남
->파워 적응
=>무게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최대 속도로 운동
저항 트레이닝 시스템(Resistance Training Systems)
-주요한 트레이닝 변인들을 조절
->근력, 신경근계 효과, 근비대 그리고 수행에 최적이익을 달성
단일 세트 시스템(Single-set system)
-한 운동을 한 세트에 실시
->근육량의 유지와 근육의 충분한 발달을 촉진시키기 위해 주 2회 수행할 것을 권고
->근력과 근비대를 얻기 위해 여러 세트를 해야 함
->초보자의 경우 단일 세트 트레이닝을 통해서도 충분히 효과를 얻을 수 있음
->적응을 위해 충분한 자극을 주지 못하기 때문에 부정적으로 인식 되고 있음
-단일 세트 트레이닝을 운동 처음에 먼저 실시
->더 높은 강도의 트레이닝을 하기 전에 결합조직, 신경계의 신체 적응 반응을 향상
멀티플 세트 시스템(Multiple-set system)
-각 운동을 여러 세트로 반복
-초보자, 숙련자 모두 효과를 볼 수 있음
피라미드 시스템(Pyramid system)
-세트마다 무게와 횟수를 증가시키거나 감소
->가벼운>무거운트레이닝(light-to-heavy system)
=>2~4세트로 구성되거나 반복횟수가 높은 경우 사용됨
->무거운>가벼운(heavy-to-light system)
슈퍼세트 시스템(Superset system)
-두 가지 운동을 빠른 속도로 교대로 실시
->주동근과 길항근 같이 운동
-각 세트 동안 상당한 부하를 목표 근육에 전달
-작용근이 운동하는 동안 대한근은 회복
-근비대와 근지구력 향상에 좋음
-트라이세트(Tri-set)
->같은 근육이나 신체 부위를 세가지 운동으로 트레이닝하는 것
->피로 범위가 더 커지고 근지구력이 요구
드롭 세트(Drop-sets)
-보디빌더 사이에 주로 사용하는 저항 트레이닝
-운동이 끝날 시점에서 이전 세트를 지속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기법
-실패할 때까지 세트를 수행하고, 그 후 5~20%를 제거하고 세트를 계속 함
->보통 2~4회 정도의 적은 횟수로 완벽하게 반복
->세트당 2~3회 정도 함
->휴식업이 수행
=>3회의 연속적 부하 감소를 트리플 드롭이라고 함
-리프팅 운동을 하는 사람에게 적합한 저항 트레이닝으로서 고급 형태임
서킷 트레이닝 시스템(Circuit-training system)
-여러 개의 운동을 최소한의 휴식시간 내에 연속으로 실시
-시간이 제한돼 있거나 신체조성을 변화하고자 하는 사람에게 효과적
상체/하체 교대 실시 시스템(Peripheral heart action system)
-서킷 트레이닝의 변환된 형태
-하체와 상체를 번갈아 가면서 트레이닝
-상지와 하지 사이에 잠재적인 혈액순환을 향상
->혈액 흐름을 분배
-프로그램을 통합/다양화하는데 유용
-신체조성을 변화시키는데 효과적
분할 시스템(Split-routine system)
-요일마다 트레이닝을 하는 시체 부위를 달리 함
-높은 근력을 요구하는 운동선수들이 많이 사용
-회복시간을 통해 주어진 시간 내에 더 많은 효과를 얻을 수 있음
수직적부하와 수평적부하(Vertical loading / Horizontal loading)
-수직적 부하
->세트에서 세트까지 위에서 아래로 내려가면서 트레이닝
-휴식시간을 최화해서 서킷 트레이닝 형태로 변환 시킬 수 있음
-휴식 시간 낭비를 최소화
-회복속도를 최대화
-수평적 부하
->한 부위의 운동을 완전히 마치고 나서 다른 부위 운동을 실시
->근력과 파워를 키우기 적합
->운동 간 휴식시간이 실제 운동시간보다 길어질 수 있음
->대사활동/근비대와 연관된 적응현상
SUMMARY
-OPT방법을 이용
->다양한 근력/체력 향상 단계 목표를 이룰 수 있음
-단일 세트 시스템(Single-set system)
->운동을 한 세트당 8~12회씩 반복 실시하는 것
->초보자들에게 근력과 근비대 향상을 위해 적절
-복합 세트 시스템(Multple-set system)
->운동을 여러 세트로 실시
->얻고자 하는 목표에 따라 무게와 반복횟수를 변화
->숙련자들에게 효과적
-피라미드 시스템(Pyramid system)
->세트마다 무게, 횟수를 단계적으로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킴
-슈퍼세트 시스템(Superset system)
->또 하나의 빠른 연속을 두 가지 운동을 사용하여 수행
->근비대와 근지구력을 향상시키는데 유용
->보디빌더들이 자주 이용
-서킷 트레이닝 시스템(Circuit-training system)
->여러가지 운동을 휴식시간을 최소로 하고 연속해서 실시
->운동할 시간이 제한적이거나 신체조성을 변화시키고자 할 때 유용
-상체/하체 교대 시스템(Peripheral heart action system)
->서킷 트레이닝을 변환시킨 것으로 상체와 하체를 교대로 트레이닝 시킴
-분할 시스템(Split-routine system)
->신체를 여러 부위로 나눠 요일마다 다르게 트레이닝
->각 신체 부위를 주어진 시간 안에 더 많이 트레이닝 시킴
->신체 부위는 1주일에 한번 이상 트레이닝 해야 함
->회복시간, 강도도 달라져야 함
-수직적 부하(Vertical loading)와 수평적 부하(Horizontal loading)
->세트별로 신체 부위를 달리하면서 수직적/수평적으로 트레이닝
->수직적 부하
=>모든 신체부위를 운동한 후 다시 그 운동을 반복
=>서킷 트레이닝 방식으로 변화시킬 경우 운동 간 휴식시간을 줄임
=>신체 부위별로 최대 회복시간을 제공하면서 휴식시간으로 낭비되는 시간을 최소화 시킴
->수평적 부하
=>신체의 다른 부위를 운동하기전에 한 신체 부위를 완전히 끝내는 트레이닝
저항 트레이닝 운동
'몸연구소 > 공부 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세와 통증 치료에 있어서 근육의 기능과 검사 북리뷰> 1. 기본개념 2편 (0) | 2020.07.06 |
---|---|
<자세와 통증 치료에 있어서 근육의 기능과 검사 북리뷰> 1. 기본개념 1편 (0) | 2020.07.03 |
나즘 (NASM)-CPT Chapter 13. 저항 트레이닝의 개념 1편 (0) | 2020.07.01 |
나즘 (NASM)-CPT Chapter 12. 속도, 민첩성, 순발력 트레이닝 2편 (0) | 2020.06.29 |
나즘 (NASM)-CPT Chapter 12. 속도, 민첩성, 순발력 트레이닝 1편 (0) | 2020.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