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어 안정화 트레이닝의 과학적 근거
- 만성적인 허리 통증
->활동 부족으로 감소하고 있는 근육
=>복횡근(transverse abdominis)
=>내복사근(internal obliques)
=>다열근(multifidus)
=>심부척주기립근(deep erector spinae)
->등 폄근이 약하거나 근지구력이 떨어짐
->몸통 근육 약화만으로도 허리통증 발생의 독립적 위험 인자
- 허리통증의 방지 및 재활에 있어서 코어트레이닝의 역할을 지지
->코어 안정화 운동
=>다열근의 크기, 활성도, 지구력을 회복
- 특정 코어 트레이닝 프로그램
->통증을 줄일 수 있음
->기능과 성능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됨
-국소 안정화 시스템(끌어당기기(drawing in))과 전체 움직임 시스템(버팀(bracing))
->신경역학적 활성에 대한 지도
=>코어 운동의 지속에서 특정 근육의 선택적 활성을 도와줌
-허리-골반-엉덩이 안정화 없이 시행된 허리 과신전 운동
->허리 디스크에 위험한 수준의 압력을 가하게 됨
->지지되지 않은 상태의 운동은 척추를 지지하는 인대에 악영향을 일으킴
=>척의 신경이 나오는 공간을 좁아지게 만드는 결과를 초래
- 척추 안정화에 기여하는 근육들을 먼저 강화
->국소 안정화 시스템
-이후 척추와 사지를 움직이는 근육을 재강화
->움직임 시스템
- 체계적이고 점진적으로 통합해 나가야 함
끌어 당기기(Drawing in) 기전
- 복부의 끌어당기기 기전(drawing-in maneuver)
->코어 트레이닝 전에 수행될 때 근전도(EMG) 활동과 골반 안정화의 증가
->복횡근이 적절하게 활성화될 때
=>척추의 강직도를 담당하는 흉요추(Thoracolumbar)근막의 긴장
=>안정화가 증가하면서 천장관절(Sacroiliac joint)을 압박
-끌어당기기 기전을 수행
->배꼽 바로 아래 부분을 척추 쪽으로 당김
->경추는 중립자세 유지
- 척추를 중립 상태로 두는 것
->자세를 개선시키고 근육의 균형을 잡아주며 안정화 향상
-운동 중 머리가 앞으로 나올 때
->흉쇄유돌근(SCM, sternocleidomastoid muscle)
=>우선적으로 보충
=>목뼈에 압박력을 높임
->골반-시각 반사의 결과로 골반의 분안정과 근육의 불균형을 초래
=>반사작용은 운동을 하는 동안 눈높이를 유지하는데 중요
->흉쇄유돌근의 지나친 활동으로 상부 목뼈가 늘어난 경우
=>시선을 다시 맞추기 위해 골반이 앞쪽으로 회전 해야 함
브레이싱(버팀, Bracing)
- 전체 근육이 동시 수축 하는 것
->복직근(Rectus abdominis)
->외복사근(External obliques)
->요방형근(Quadratus lumborum)
-복부에 가해지는 압력(bearing down) 또는 의식적으로 수축
->전체 근육의 긴장
-허리통증이 있는 대상자들에게 시행 시
->전체적이고 국소적인 근육들의 근지구력에 효과적
-분절화된 척추 안정화가 몸통의 전체적인 안정화에 집중한 지구력 트레이닝이 됨
->척추의 안정화를 이끔
코어 트레이닝 지침
- 종합적인 코어 트레이닝
->체계적이고 점진적이며 기능적
->전체적인 근육의 활동 스펙트럼을 강조
=>힘의 생산(동심성)
=>힘의 감소(편심성)
=>동적 안정화(등척성)
- 코어 트레이닝 프로그램 설계
->자가수용의 강화(조절되나 불안정한 트레이닝 환경)를 만들어야 함
-불안정한 환경에서 행해지는 코어 운동
->국소적이고 전체적인 안정화 시스템의 활성화를 높임
SUMMARY
- 만성 허리 통증을 가진 대상자
->코어 근육의 활성도가 낮아 안정화에 필요한 지구력이 낮은 편
-적절한 골반의 안정 없이 허리 운동을 수행
->허리-골반-엉덩이 복합체를 통한 부적절한 힘을 야기
=>조직에 과부하가 걸려 손상을 초래
-끌어당기기 기전과 브레이싱 수행
->골반과 척추 안정화에 도움이 됨
- 목뼈를 중립자세로 유지하는 것은 자세와 근육 균형 그리고 안정화 향상
코어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설계
- 코어 트레이닝의 목표
->신경근 효율성
->안정화(척추사이와 허리골반 안정화-국소 및 전체적 안정화 시스템)
->기능적인 힘(움직임 시스템)
->프로그램의 초점을 신경의 적응에 맞추어야 함
-다중감각 환경과 여러 운동기구를 활용
->고유감각요구를 증대
-움직임의 질이 양을 뛰어넘어야 함
-프로그램 초점은 기능에 있어야 함
- 코어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순서
->척추사이 안정화(Intervertebral stability)
->허리골반 안정화(Lumbopelvic stability)
->움직임의 효율성(Movement efficiency
코어 트레이닝의 단계
- OPT 모형의 트레이닝 단계
->안정화
->근력
->파워
코어 트레이닝의 단계 – 코어 안정화 트레이닝
- 코어 안정화 트레이닝(core-stabilization training: 1단계)
->척추와 골반 전체에 걸친 작은 동작을 포함
=>신경근 효율성과 척추사이 안정화를 개선
=>운동하는 동안 끌어당기기에 초점을 맞춘 뒤 브레이싱에 초점을 맞춤
->트레이닝을 4주간 지속적으로 시행
=>마칭(Marching)
=>플로어 브릿지(Floor bridge)
=>플로어 프론 코브라(Floor prone cobra)
=>프론 아이소- 앱(prone iso-ab)
코어 트레이닝의 단계 – 코어 근력 트레이닝
- 코어 근력 트레이닝(core-strength training: 2, 3, 4단계)
->코어 안정화 트레이닝의 능동적인 기술을 시행
-> 동시에 역동적인 척추의 전반적인 폄과 수축 운동을 시행
->특이성과 속도, 신경성 요구가 향상
-4주 정도를 소요
-전체 운동사슬(kinetic chain)의 향상
->역동적인 안정성
->동심성 근력(힘의 생산)
->편심성 근력(힘의 감소)
->신경근의 효율성
->운동 예시
=>볼 크런치(Ball crunch)
=>백 익스텐션(Back extensions)
=>리버스 크런치(Reverse crunch)
=>케이블 회전(Cable rotation)
코어 트레이닝의 단계 – 코어 파워 트레이닝
- 코어 파워 트레이닝(core-power training: 5단계)
->코어 근육계가 좀 더 힘을 잘 낼 수 있도록 도와 줌
=>개인을 동적으로 안정시키며 기능적으로 적용 가능한 속도록 힘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함
->운동 예시
=>회전 체스트 패스(Rotation chest pass)
=>볼 메디신 볼(MD) 풀오버 스로우(ball medicine ball(MB) pullover throw)
=>프론트 MD 사선 스로우(Front MB oblique throw)
=>사커 스로우(Soccer throw)
SUMMARY
- 코어 근육계는 기능적인 활동을 하는 동안 발생하는 유해한 힘으로부터 척추를 보호
- LPHC에서의 안정성, 근력, 파워, 근지구력, 신경근 조절 능력을 향상
- 체계적이고 전진적이며, 통합적이고, 자기수용적인 상태에서 행해야 함
- 올바른 코어 트레이닝 프로그램
->OPT 모형(안정화, 근력, 힘)과 같은 체계로 진행
-코어 안정화 트레이닝에서 LPHC의 기능적 안정성을 향상
-코어 근력 트레이닝에서는 특이성, 속도, 신경계의 수요를 요구
->완전가동범위의 동작을 통해 척추는 역동적으로 움직임
=>운동사슬의 신경계의 효율성 증가
- 코어 파워 트레이닝 운동은 LPHC 근육계(운동 시스템)의 힘 생성 정도를 향상
'몸연구소 > 공부 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즘 (NASM)-CPT Chapter 10. 밸런스 트레이닝의 개념 2편 (0) | 2020.06.23 |
---|---|
나즘 (NASM)-CPT Chapter 10. 밸런스 트레이닝의 개념 1편 (0) | 2020.06.20 |
나즘 (NASM)-CPT Chapter 9. 코어 트레이닝의 개념 1편 (0) | 2020.06.17 |
나즘 (NASM)-CPT Chapter 8. 심폐체력 트레이닝 2편 (0) | 2020.06.14 |
나즘 (NASM)-CPT Chapter 8. 심폐체력 트레이닝 1편 (0) | 2019.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