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심폐체력 트레이닝
-심폐 트레이닝과 연관된 요인들을 정의하고 기술
-심폐 트레이닝에 생리적 시스템이 반응하고 적응하는지를 기술
-심폐 트레이닝과 연관된 건강 관련 이점들을 기술
-안전하고 효과적인 심폐운동을 처방하기 위한 권장사항을 기술
-개별화된 접근으로 심폐 트레이닝 프로그램 설계 및 시행법을 설명
-안전하고 효과적인 심폐운동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지도
심폐체력 트레이닝
-심폐체력(cardiorespiratory fitness)
->신체활동 동안 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골격근에 공급하는 순환기계와 호흡기계의 능력
->건강 관련 체력의 다섯가지 요인 중 하나 임
->정상적인 일상생활활동(ADL)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능력과 건강에도 중요한 역할
->만성질환 예방과 삶의 질 및 건강 개선에서 최우선 과제가 되어야 함
-통합된 심폐 트레이닝(integrated cardiorespiratory training)
->심폐계에 다양한 단계의 부하를 주는 것
->최종적인 생리적, 신체적 수준에 도달하고 운동수행의 적응을 달성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목표
심폐체력 트레이닝
-대상자의 특별한 필요와 목표에 맞게 설계되어야 함
->대상의 초기 체력 수준
->체력 평가 결과
->운동 수행 시 위험인자들이나 건강의 문제를 가지고 있는지를 반영
->각 운동 트레이닝 기간
=>준비운동 단계
=>트레이닝 단계
=>정리운동 단계
준비운동 단계
-신체활동을 위해 준비하는 것
-일반적인 준비운동(general warm-up)
->운동에 특화된 움직임 외에도 여러 동작으로 구성되어 있음
-특이적 준비운동(specific warm-up)
->수행될 활동의 동작을 더 유사하게 모방하는 움직임으로 구성
->동적 스트레칭
-전체적인 준비운동기간
->심폐 준비운동 5~10분
->전신, 동적인 심혈관이나 근육 움직임을 포함
- 심박수와 호흡률, 조직온도의 증가, 심리적인 목적
준비운동 단계: 제안된 준비운동 활동
-NASM에서 심폐 준비운동은 저중강도 5~10분 권장
-대상자의 목표와 목적에 따라 권장사항을 바꿀 수 있음
-보건적으로 제한을 갖는 또는 운동에서 특별한 어려움을 겪은 대상자들
->절반이나 그 이상을 준비 운동으로 사용해야 할 지도 모름
-OPT모형의 안정화 수준에서 유연성과 심폐운동을 활용한 제한된 준비운동의 예(아래 표)
-준비운동 기간과 연관된 기술과 활동을 이해할 때
->심폐 트레이닝으로 들어갈 준비가 된 것
-(위에 표) OPT 모형의 근력 수준으로 진행된 대상자를 위한 준비운동 샘플
-(위에 표) OPT 모형의 파워 수준으로 진행된 대상자를 위한 준비운동 샘플
-동적 스트레칭은 순환 형태로 수행될 수 있어서 추가적인 심폐 준비운동 활동이 필요하지 않음
컨디션닝 단계
-심폐운동의 이점
->심장의 강화와 효율성 개선
->혈액을 펌프하는 능력의 개선(심박출량 증가)
->심장질환의 위험성 감소
->안정 시 심박수 감소
->부하 시 심박수 감소
->폐 환기의 개선(효율적 호흡)
->호흡근육의 강화
->체중부하 유산소운동으로 인한 관절연골과 뼈의 강화
->산소운반 능력의 개선
->콜레스테롤 수치 저하
->혈액희석의 개선과 응괴형성 위험의 감소
->연료공급 능력의 개선
->지방산 사용 능력의 개선
=>저장된 근 글리코겐의 절약 작용\
->산소를 사용하는 근육의 능력 개선
->정신적 각성의 개선
->우울증과 불안 감소
->휴식과 수면 능력 개선
->스트레스 대처능력 개선
->제지방 체중 증가
->대사율 증가
->비만이나 당뇨병 위험 감소
정리운동 단계(cool-down)
-인체가 운동 상태에서 휴식의 안정 상태로 순조롭게 이행할 수 있도록 함
-준비운동의 반대 개념
-목표
->심박수와 호흡률을 감소
->점차적으로 체온을 내림
->근육을 최상의 길이-장력 관계로 되돌려 놓음
->하체의 정맥울혈을 예방
->생리적 계통을 기초 상태로 회복
- 심폐 정리운동을 위한 적절한 시간은 5~10분
-정리운동의 이점
->심박수와 호흡률 감소
->체온의 점차적인 감소
->근육의 최상의 길이-장력 관계회복
->하체의 정맥울혈 예방
->생리적 계통을 기초 상태로 되돌림
정리운동 단계(cool-down):권장 정리운동
-정적 스트레칭이 준비운동에 사용될 때 오직 긴장되거나 과도하게 상용되는 곳에만 사용
->최대 동작 시점에서 20~30초 동안은 유지
-정리운동 동안 정적 스트레칭은 운동시 사용된 주요한 근육에 초점을 맞추어 사용
->근육이 정상적인 안정 시 길이로 되돌아 올 수 있도록
Summary
-심폐체력은 건강 관련 체력의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 중 하나 님
-높은 수준의 심폐체력은 질병의 위험 감소 및 사망률의 개선과 관련 됨
-심폐 트레이닝은 준비운동이 선생 되고 정리운동이 뒤따라야 함
-준비운동은 신체활동에 대비하도록 하여 활동을 수행할 수 있게 함
-전형적으로 심폐 준비운동은 저중강도에서 5~10분 정도 지속
-5~10분 정도의 정리운동
->신체가 운동 상태에서 다시 휴식의 안정 상태로 들어가는 이행 단계를 제공
-유연성 운동은 근육이 안정 시 길이로 되돌아가는 준비운동과 정리운동의 중요한 구성요소
심폐 트레이닝을 위한 일반적인 가이드라인
-심폐운동을 포함한 모든 운동 트레이닝 권장은 개개인에 맟춰 결정 되어야 함
-FITTE 원리
->빈도(F, frequency)
->강도(I, intensity)
->유형(T, type)
->시간(T, time)
->흥미(E, enjoyment)
빈도(F, frequency)
-주어진 기간 동안의 트레이닝 횟수를 나타냄
-일반적인 건강요건에서 권장하는 활동의 빈도는 가급적이면 적은 시간 매일 하는 것
-더 나은 체력 수준을 위해서는 고강도로 3~5일의 빈도가 요구 됨
강도(I, intensity)
-신체에 요구되는 활동 수준의 단계를 의미
-심폐운동에 적용하는 강도를 설정 및 관찰 하는 요인
->심박수
->일률(watts)
->최대산소소비량(VO2max)
->여유산소섭취량(VO2R)백분율 계산
-여유산소 섭취량의 60%는 중강도
-여유산소섭취량의 60% 이상의 고강도는 체력이나 컨디셔닝 향상에 필요
운강도 처방의 방법:최대산소소비량(Peak VO2)방법
-전통적인 측정의 기준은 VO2max나 분당 단위체중당 최대산소소비량 임
-Vo2max
->강한 운동 중에 개인이 사용할 수 있는 최대 산소량
->운동해야 할 각각의 VO2max의 백분율로 운동강도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
->비실용적임
=>최대의 노력으로 심폐운동을 수행하는 것이 필요
=>대상자의 환기반응을 기구를 이용하여 측정해야 함
->VO2max를 설정하기 위하여 최대하 측정을 하는 것이 보편화
운강도 처방의 방법:여유산소섭취량(VO2 Reserve)방법
-여유산소섭취량은 운동 강도를 설정하는데 사용 됨
-여유산소섭취량은 VO2max의 산정이 필요하며 공식을 통해 구할 수 있음
->Vo2R=[(Vo2max-VO2rest) X 필요한 운동강도] + VO2rest
-최대하 검사나 직접 측정하여 추정할 수 있음
-VO2rest (안정 시 산소섭취량)은 추정된 추정 값을 사용
-ACSM에서는 상대적 운동강도를 VO2R과 여유심박수(HRR)의 40% 혹은 50%에서 85%까지 추천
->50%는 대부분 성인의 트레이닝의 역치
->40%는 트레이닝이 안된 사람을 위한 역치
운동강도 처방의 방법:최고 최대심박수(MHR)방법
-최대심박수(Hrmax)를 계산
->최대심박수 추정 공식
=>220-자신의 나이
운도강도 처방의 방법:여유심박수(HRR)방법
-심박수와 산소섭취량은 동적 활동과 정적인 상관이 있음
->주어진 산소소비량의 백분율에 근거한 사전 예정 심박수나 목표심박수(THR)는 보편화 됨
-HRR계산방법
->THR = [(HRmax – HRrest) X 필요한 운동강도] + HRrest
운동강도 처방의 방법:운동자각도(RPE) 방법
-운동 중에 대상자가 느끼는 힘듦의 정도를 나타냄
-운동 중에 증가되는 심박수, 환기율, 발한 과 근피로 같은 신체적 감각을 느끼는 것이 근거
-적당한 운동강도는 12~14정도 임
운동강도 처방의 방법:대화검사(Talk Test)
-운동 중의 운동강도를 측정하는 공식 방법
시간(T, time)
-운동트레이닝에 참여하는 시간의 길이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분으로 나타냄
유형(T, type)
-운동종류나 형태를 선택하는 것
-유산소 운동이나 형태 활동에 세 가지 기준
->자연스럽고 리드미컬해야 함
->대근육 그룹을 사용
->지속적인 형태의 운동
흥미(E, enjoyment)
-운동이나 활동에 참여하면서 얻어지는 즐거움의 양
-운동형태를 선택하기 전에 흥미를 고려하지 않는다면 운동 지속률은 감소
-재미있고 도전적인 프로그램에서 운동을 더욱 지속하는 경향을 보임
Summary
-FITTE 지침은 적정 프로그램의 발전과 각 변인의 정량화를 위한 것
-권장사항
->빈도는 대개 주 단위로 표현되는 주어진 기간 동안의 트레이닝 횟수
=>건강요건을 위해 권장되는 활동의 빈도는 적은 시간 매일 하는 것
=>체력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고강도 매주3~5일의 빈도가 요구
->강도는 신체에 요구되는 활동 수준의 단계를 의미
=>건강에 필요한 정도는 중강도가 선호 되며 최대산소소비량의 60% 이하의 범위에 해당
=>최대산소소비량의 60% 이상의 높은 강도는 체력이나 컨디셔닝 향상에 필요
->시간은 활동이나 운동 트레이닝에 참여하는 시간의 길이를 의미 함
->유형은 운동 종류나 형태를 선택하는 것
=>자연스럽고 리드미컬 해야함
=>대근육 그룹을 사용
=>지속적인 형태의 운동
->흥미는 특정 운동이나 활동에 참여하면서 얻어지는 즐거움의 양
=>흥미를 고려하지 않는다면 운동 지속률은 감소
=>운동프로그램과 활동은 대상자의 선호와 개성에 부합되도록 해야 함
'몸연구소 > 공부 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즘 (NASM)-CPT Chapter 9. 코어 트레이닝의 개념 1편 (0) | 2020.06.17 |
---|---|
나즘 (NASM)-CPT Chapter 8. 심폐체력 트레이닝 2편 (0) | 2020.06.14 |
나즘 (NASM)-CPT Chapter 7. 유연성 트레이닝의 개념 - 2편 (0) | 2019.06.19 |
나즘 (NASM)-CPT Chapter 7. 유연성 트레이닝의 개념 - 1편 (0) | 2019.06.12 |
나즘 (NASM)-CPT Chapter 6. 체력평가 (0) | 2019.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