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체 움직임 시스템(운동사슬)에서 근육 불균형의 영향들을 설명
-통합된 유연성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사용에 대한 과학적인 근거 제시
-유연성 기법들의 다양한 형태들에 대한 구별
-주어진 상화에 대해 적절한 유연성 기법들을 수행하고 지도
유연성이란??
-유연성은 간단하게 완전한 관절 가동범위(ROM)를 이용하여 관절이 움직일 수 있는 능력
-관절가동범위
->모든 연부조직들이 정상적인 신장성(extensibility)에 의해 좌우 됨
->연부조직의 특성
=>움직임의 최적 조절은 전 가동범위를 통해 유지될 때 효율적인 신장성을 얻을 수 있음
-동적 가동범위(dynamic range of motion)
->효율적으로 가동범위를 제어하는 신경계의 능력과 유연성의 조합
-유연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
->유전
->결합조직 탄성
->관절을 둘러싼 힘줄이나 피부의 구성
->관절 구조
->대항근(길항근)군의 근력
->신체조성
->성별
->나이
->활동 수준
->이전 상해나 현존하는 의학적 문제들
->반복적인 움직임들(패턴 과부하)
-신경근 효율(neuromuscular efficiency)
->움직임의 세평면에서 신체 구조에 힘을 생성(동심성)
->힘을 감소(편심성)
->동적으로 안정화(등척성)
->올바른 근육들(작용근, 대항근, 협력근, 안정근)을 사용하기 위한 신경계의 능력
->움직임의 모든 평면에서 적절한 유연성을 가져야 함
->일상생화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데 필요한 이동의 자유(freedom of movement)를 제공

-유연성은 신장성이 필요
-신장성은 동적 가동범위와 신경근 효율이 필요
-전체 사슬은 유연성 트레이닝을 향한 통합적(포괄적) 접근을 수행함으로 얻음
-유연성 트레이닝
->연부조직 신장성을 얻는 다양한 유연성 기법들을 다면적인 접근을 이용하여 통합
-통합적 유연성 이해
->인체 움직임 시스템, 근육 불균형과 신경근효율을 포함한 몇 가지 중요한 개념을 파악
인체 움직임 시스템의 검토
-인체 움직임 시스템(human movement system : HMS)
->근육, 골격, 신경계를 구성
-HMS의 각 구성요소의 최적 정렬과 기능은 좋은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초석
-HMS의 분절들의 정렬이 흐트러지고 부적절하게 기능한다면 특정 기능장애 패턴이 발생
->자세 왜곡 패턴(postural distortion patterns)(나쁜 정적 또는 동적 자세)
=>신경근 효율을 떨어뜨리고 조직에 과부하를 초래 하는 기능 장애 패턴
=>HMS의 감소된 기능으로부터 초래되는 구조적 통합의 결여로 나타남
•바뀐 길이- 장력(변화된 근육 길이
•변화된 짝힘 관계(근육 활성화)
•변화된 관절 운동학(변화된 관절 움직임

-모든 요소들이 최적, 상호의존적으로 기능하는 경우에만 HMS의 최대 신경근 효율이 존재 함
-HMS의 궁극적인 목표는 항상성(또는 동적 자세 균형)을 유지 하는 것
-나쁜 유연성
->상대적 유연성(relative flexibility: 변화된 움직임 패턴)의 발전으로 이끔
=>HMS가 기능적 움직임 패턴들 동안 최소 저항 경로를 찾는 과정
=>EX)

단축된 종아리 근육
->다리간격을 넓히고 발이 바깥돌림
->발목에서 필요한 발등굽힘의 양을 감소하는 것

어깨 굽힘 제한
->허리 보상
1)근육 불균형
- 주어진 관절을 둘러싼 근육들의 길이 변화
->과한 활동(보상이 일어나게 함)
->저활동(보상이 일어나는 것을 허락)
->근육 불균형의 원인
=>자세적 스트레스
=>감정적 스트레스
=>반복적인 움직임
=>누적 외상
=>나쁜 트레이닝 기법
=>중심(core) 근력의 부족
=>신경근 효율부족

- 변화된 상호억제, 협력근 지배, 관절운동학적 기능, 감소된 신경근 조절에 의해 발생 될 수 있음

변화된 상호억제
- 변화된 상호억제, 협력근 지배, 관절운동학적 기능, 감소된 신경근 조절에 의해 발생 될 수 있음
- 상호억제(reciprocal inhibition)
->한 개의 근육의 동시적 수축과 대항근의 이완
- 변화된 상호억제(altered reciprocal inhibition)
->강한 작용근이 그것의 기능적 대항근에 신경의 활성도를 감소시키는 원인
->짝힘(force-couple) 관계를 바꾸고, 협력근 지배(synergistic dominance)를 만듬
->잘못된 움직임 패턴들, 나쁜 신경근 조절, 관절운동학적 기능장애를 일으킴
협력근 지배
- 협력근 지배( synergistic dominance)
->협력근이 약하거나 억제된 근육에 대한 기능을 대체할 때 일어나는 신경근 현상
- 협력근 지배의 결과는 관절운동학 기능장애와 손상을 이끄는 잘못된 움직임 패턴
관절운동학 기능장애
-관절운동학(arthrokinematics)
->관절의 움직임
- 관절운동학 기능장애(arthrokinetic dysfunction)
->변화된 관절 움직임을 초래하는 역학적, 신경근의 장애
->관절 움직임의 변화는 길이-장력 관계와 짝힘 관계가 달라지면서 발생
- 시간이 지남에 따라 관절운동학 기능장애와 관련된 스트레스는 통증을 만들 수 있음
- 근육 동원과 관절역학을 더 변화 시킬 수 있음
신경근 효율
- 움직임의 모든 세평면에서 전체 운동사슬에 적절하게 근육을 동원하는 신경계의 능력
->힘을 생성(동심성)
->힘을 감소(편심성)
->동적으로 안정화(등척성)
-기계적수용기(또는 감각수용기)
->근육 균형이나 불균형을 결정하는 것을 도와주는 근육과 힘줄(건)들에 위치
->근방추
->골지건
1)근방추(muscle spindles)
- 근육의 중요한 감각기관
- 근섬유에 평행하게 있는 미세섬유들로 구성
- 길이 변화와 변화율에 민감 함
- 근방추의 기능
->너무 과도하거나 빠른 스트레칭으로부터 근육을 보호
->한쪽 면에서 근육이 길어질 때 길어진 근육의 방추는 스트레치 됨
=>근방추가 자극되면서 길어진 근육의 근섬유를 수축
=>미세한 근경직이나 팽팽한 근육 당김을 일으킴

2)골지건기관
- 골지건기관은 근힘줄 경계(또는 근육과 힘줄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
- 근긴장의 변화와 장력 변화율에 민감
-골지건기관의 기능(자극이 될 때)
->근육을 이완 시킴
->손상을 초래할 수 있는 과도한 스트레스에 놓인 근육을 보호
-장기간 골지건기관 자극은 근방추(같은 근육안에 위치한)의 억제 활동을 제공
->자가발생억제(autogenic inhibition)
=>긴장을 감지하는 신경자극이 근육 수축으로 인한 자극보다 더 커질 때 일어남
->자가발생
=>수축되는 근육이 자신의 수용기에 의하여 억제되는 현상
Summary
- 유연성 트레이닝은 근육 불균형과 관절기능장애 그리고 과사용 손상의 위험을 감소 시킴
- 세 평면(시상면, 이마면, 가로면)에서 적절한 가동범위를 갖는 것이 중요 함
-운동사슬의 분절들은 자세 왜곡 패턴(나쁜 자세)과 조직 과부하를 피하기 위해 정렬되어야 함
-HMS의 적응적 잠재성은 제한된 유연성에 의해 감소 됨
->변화된 방법에서 신체를 움직이는데 부하를 주고 상대적 유연성(잘못된 움직임 패턴)을 일으킴
-근육 불균형은 변화된 길이-장력 관계, 짝힘 관계, 관절운동학으로 발생
->나쁜 자세, 나쁜 트레이닝 기법 또는 이전의 손상에 의해 일어날 수 있음
=>변화된 상호억제, 협응 지배와 관절운동학 기능장애를 초례
=>감소된 신경근 조절과 손상을 일으킴
유연성 트레이닝에 대한 과학적 근거
- 유연성 트레이닝은 모든 트레이닝 프로그램에서 중요한 요소 임
->근육 불균형 수정
->관절가동범위 증가
->과도한 근육긴장 감소
->관절부하 제거
->근힘줄 경계의 신장성 향상
->모든 근육의 기능적 정상길이를 유지
->신경근 효율 향상
->기능 향상
1)패턴 과부하(pattern overload)
- 시간이 흐름에 따라 신체에 비정상적 스트레스를 주는 패턴을 지속적으로 반복 하는 것
->신체에 비정상적 스트레스를 일으킴
2)누적손상주기(cumulative injury cycle)
- 기능장애는 손상으로써 신체에 의해 회복 과정
- 외상은 염증을 일으킴
->신체의 통증수용를 활성화시키고 보호기전을 시작하여 근육긴장을 높이거나 근경련을 일으킴
->근방추 활성의 증가는 미세연축(microspasm)을 일으킴
->연축(spasm)의 결과로써 연부조직에서 유착을 형성
=>변화된 길이-장력 관계(변화된 상호억제를 일으킴)
=>변화된 짝힘 관계(협력근 지배를 일으킴)
=>관절운동학 기능장애(변화된 관절 움직임을 일으킴)
=>비탄성적 매트릭스(신장되지 않음)를 형성
->유착들은 연부족직에서 영구적 구조적 변화가 일어 남


- 데이비스 법칙(Davis‘s law)
->연부조직이 스트레스 선을 따라 형성된다는 것을 말 함
->연부조직은 무작위 방법에서 형성되는 비탄성적 콜라겐 매트릭스를 가지고 재형성 됨
->일반적으로 근육섬유처럼 같은 방향으로 되어 있지 않음
->비탄성적 결합조직섬유
=>근섬유가 적절하게 움직이는 것을 방해하는 방어벽으로 작동
->정상적인 조직 신장성에 변화를 만들고 상대적 유연성을 야기 함
->항상 짧아진 상태의 근육
=>바뀐 길이-장력과 짝힘 관계의 결과로서 나쁜 신경근 효율이 나타남
=>관절 움직임에 영향을 미치고 움직임 패턴(협력근 지배)을 바꿈
->비탄성적 콜라겐 매트릭스
=>변화된 근육 움직임에 의해 만들어진 스트레스 선을 따라 형성
=>바뀐 패턴을 따라 형성
=>근육은 올바른 방식으로 늘어나고 움직이는 능력을 잃게 됨
Summary
-유연성 트레이닝의 이점
->근육 불균형의 향상
->관절가동범위와 근육 신장성의 증가
->근육의 과도한 긴장과 관절 스트레스의 감소
->신경근 효율과 기능의 향상
-반복적인 방법으로 트레이닝을 하면 패턴 과부하에 빠질 위험이 있음
->신체에 스트레스를 주고 손상을 일으킴
-나쁜 자세와 반복적인 움직임은 결합조직에 기능장애를 만들고 누적손상주기를 시작 함
-조직외상
->염증을 만들고 미세연축을 이끌고 연부조직의 정상적인 탄성을 감소
-연부조직은 비탄성적 콜라겐 매트릭스를 가지고 무작위 방법으로 다시 생성 됨
-비탄성적 결합조직 섬유
->근섬유들이 길어지면 방어벽으로서 작용
->정상적인 조직 신장성에 변화를 만듬
->상대적인 유연성을 야기 함
'몸연구소 > 공부 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즘 (NASM)-CPT Chapter 8. 심폐체력 트레이닝 1편 (0) | 2019.06.30 |
---|---|
나즘 (NASM)-CPT Chapter 7. 유연성 트레이닝의 개념 - 2편 (0) | 2019.06.19 |
나즘 (NASM)-CPT Chapter 6. 체력평가 (0) | 2019.06.09 |
나즘 (NASM)-CPT Chapter 3. 심폐계 2편-호흡기계(Respiratory system), 심폐계의 기능 (0) | 2019.06.06 |
나즘 (NASM)-CPT Chapter 3. 심폐계 1편-심혈관계(cardiovascular system) (0) | 2019.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