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폐계의 개요
-심장과 혈관 및 혈액을 구성하는 심혈관계
-기관지, 폐포 및 폐를 구성하는 호흡계
심혈관계(cardiovascular system)
-심장으로부터 신체의 각 조직으로 혈액을 운반하는 역할
->심장
->혈관
->혈액
1)심장
- 혈액을 신체로 밀어 보내는 근육성 펌프
->가슴 중앙에 비스듬히 위치
->척주의 전방과 흉골의 후방에 위치
->심장의 양 옆 좌우에 두개의 폐가 위치
->종격으로 알려진 가슴 부위 안에 들어가 있음
->심장근육은 가로무늬(횡문)인 근절
->불수의적인 근육
심근의 수축
- 심근섬유는 골격근보다 짧고 빈틈이 없이 연결되어 있음
- 사이원반(개재원반)
->심장세포 사이의 불규칙한 간격의 어두운 밴드
->수축하는 동안 근육세포를 같이 지탱
->세포 사이에 전기적 연결을 만드는 역할
-스스로 자극전도계를 가지고 있음
->심장세포에 걸쳐 빠른 속도로 전기 신호를 전송
- 안정 시 심박수는 분당 70~80박동
- 심장의 전기적 자극전도계
->동방결절에서부터 전기적 신호가 심방을 통하여 심실로 전송될 수 있도록 구성
=>심장의 일정한 리듬감 있는 수축 패턴에서 심근세포가 기계적으로 수축할 수 있도록 자극
- 우심방에 위치하는 동방(SA)결절
->심장박동이 시작되기 때문에 심장의 페이스메이커라고 불림
-결절 간의 경로(internodal pathways)
->동방결절로부터 방실(AV)결절로 자극을 이동 시킴
->방실결절에서는 자극이 심실로 이동되기 전에 약간 지연 됨
-방실다발(AV bundle)
->심실의 수축을 위하여 퍼킨제(Purkinje)섬유의 좌우 다발갈래를 경유하여 자극을 심실까지 통과
심장의 구조
-심장은 4개의 공동의 챔버로 구성 되어 있음
->챔버는 양쪽에 존재하는 두개의 서로 의존하는 펌프로 이루어 짐
->두개의 펌프는 심방중격과 심실사이막에 의하여 분리되어 있음
=>심방중격(interatrial septum, 심방분리 역할)
=>심실사이막(interventricular septum, 심실분리역할)
-심장은 좌우에 심방과 심실의 두 개의 챔버를 가지고 있음
->심장의 오른쪽 폐동맥측(pulmonic side)
=>전신으로부터 낮은 O2와 높은 CO2의 혈액을 받아 폐로 보내고 다시 좌심방으로 돌아옴
->심장의 왼쪽은 전신 측(systemic side)
=>높은 O2와 낮은 CO2의 혈액을 전신으로 보냄
심장의 구조 : 심방(atria)
-양쪽 상부에 존재하고 있는 작은 챔버
->혈액을 심장으로 받아 들임
-우심방
->전신으로 부터 심장으로 되돌아오는 탈산소화된(deoxygenated) 혈액을 받음
-좌심방
->폐로부터 심장으로 되돌아오는 재산소화된 혈액을 받음
심장의 구조 : 심실(ventricle)
-양쪽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큰 챔버
-주요한 펌프로 전신으로 혈액을 공급
-우심실
->혈액을 짧은 거리로만 보내는 역할 (좌우 폐)
=>압력이 낮음
=>심실 벽도 얇음
-좌심실
->전신으로 혈액을 내보냄
=>심실벽이 두꺼움
=>펌프의 압력이 높음
-우심실은 우심방으로부터 탈산소화된 혈액을 받아 들임
-> 다시 산소를 포화시키기 위해 양쪽 폐로 혈액을 보내는 역할
-좌심실은 좌심방으로부터 재산소화된 혈액을 받아 들임
->전신으로 내보내는 역할
-판막으로 각각 하나씩 따로 분리되어 있음
->각 챔버들은 주요 정맥과 동맥을 경유하여 혈액이 다시 챔버 안으로 역류해 것을 방지
->방실판막(삼첨판막과 승모판막)
->반월 판막(폐판막과 대동맥판막)
심장의 기능
-1회 박출량(stroke volume: SV)
->1회의 심실의 수축에 의해 밖으로 밀어낸 혈액의 양
->이완말기용량(end-diastolic vilume: EDV)과 수축말기용향(end-systolic volume: ESV)
=>1회 박출량은 EDV와ESV가 서로 다름
=>EDV는 수축 전에 심실에 채워지는 혈액량
=>ESV는 수축 후 심실에 남아 있는 혈액의 잔류량
->EDV의 혈액량은 약 120ml
->ESV의 혈액량은 약 50ml
-심박수(heart rate: HR)
->일반적인 사람들의 심박수는 약 70~80박동/분
->심박출량은 분당 심장에 의해 박출되는 혈약량을 나타냄(mL blood/min)
=>심박수와 1회 박출량에 의해 결정됨
=>심박수 X 1회박출량
2)혈액
-고유의 생명 유지를 위한 액체
->각 기관의 세포에 산소와 영양분 운반
->체온저절
->면역 담당
->노폐물 제거
-혈당과 호르몬 그리고 혈액 응고제와 같은 영양소가 포함 됨
-혈액에 있는 세포는 적혈구 와 백혈구 그리고 혈소판 임
->적혈구는 폐로부터 전신으로 산소를 운반
->백혈구는 면역을 도움
->혈소판은 혈액 응고를 도움
-혈장은 혈액의 총량의 약 55%를 구성
-45%는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으로 구성
-인체 움직임 시스템을 위하여 내부의 운송과 조절, 방어 시스템을 제공
혈액운반
-생명 유지에 필수인 산소를 전신의 모든조직으로 운반하고 노폐물을 제거 함
-호르몬을 운반, 영양소를 전신의 여러 조직과 기관으로 보냄
-내부와 외부에서 생성되는 열을 제거
조절, 보호
-전신 순환을 통하여 내부 코어로부터 신체의 주변부 밖으로 열을 전달 하여 체온조절
->피부의 바로 밑을 도면서 발생된 열을 빼앗고, 체내를 식히는 역할
-체내의 세포에 수분 공급뿐만 아니라 pH 레벨(산-염기 평형)의 조절
-흉터가 생길 때 까지 상처 조직을 밀봉하는 응고 시킴
-> 과도한 혈액 손실을 막음
-체내로 침입한 외부 독성분에 대항하여 싸우는 특정 면역세포를 공급
-> 질병과 질환의 위험을 감소
3)혈관
-혈액을 순환시키기 위한 밀폐된 중공관 회로
-속이 빈 관으로 이루어 져 있음
-순환식 구조
->심장으로 부터 다시 심장으로 혈액을 운반 할 수 있음
-동맥(arteries)
-> 심장으로부터 혈액을 운반
-모세혈관(capillaries)
->혈액과 조직 사이의 화학물질과 물을 교환
-정맥(veins)
->혈액을 다시 심장으로 보냄
동맥(artery)
-대동맥은 심장으로부터 나오는 혈액을 운반 함
-중간크기의 동맥을 포함한 대동맥의 가지
->목동맥(carotid artery)
->빗장밑동맥(subclavian artery)
->장간막동맥(mesenteric arteries)
->콩팥동맥(renal artery)
->엉덩동맥(iliac artery) 등 있음
-세동맥(arterioles)
->중간동맥에서 나온 작은 동맥 가지
-모세혈관
->세도맥에서 나온 초미세혈관의 가지
->각조직사이에서 산소와 영양소, 호르몬, 노폐물의 교환
정맥(venules)
-세정맥(venules)
->모세혈관으로 부터 혈액을 모으는 혈관
-세정맥은 다른 세정맥들과 점진적으로 합쳐져서 정맥을 이룸
-정맥은 전신에서 받은 혈액을 심장으로 운반
Summary
-혈액은 운반을 위한 매개체
->신체의 각 조직으로부터 또는 각 조직으로 필수 생성물질을 오음
->내부적 수송과 조절, 보호 시스템의 역할을 함
-혈액을 수송하는 혈관을 동맥(더 작은 구성은 세동맥)
-혈액을 돌려놓는 혈관을 정맥(더 작은 구성을 세정맥)
-모세혈관은 가장 작은 혈관으로 세동맥과 세정맥을 연결
'몸연구소 > 공부 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즘 (NASM)-CPT Chapter 7. 유연성 트레이닝의 개념 - 2편 (0) | 2019.06.19 |
---|---|
나즘 (NASM)-CPT Chapter 7. 유연성 트레이닝의 개념 - 1편 (0) | 2019.06.12 |
나즘 (NASM)-CPT Chapter 6. 체력평가 (0) | 2019.06.09 |
나즘 (NASM)-CPT Chapter 3. 심폐계 2편-호흡기계(Respiratory system), 심폐계의 기능 (0) | 2019.06.06 |
나즘 (NASM) Chapter 1. 통합적 트레이닝을 위한 과학적 인론 (0) | 2019.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