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나즘12

나즘 (NASM)-CPT Chapter 6. 체력평가 -통합 체력 평가의 구성요소들과 필요성에 대한 설명 -건강력 설문지를 관리방법 및 대상자의 전반적인 위험요인들 계층화 -자세의 중요성과 움직임 관찰과의 관련 및 평가 방법 -평가를 통해 얻은 대상자에 대한 운동 프로그램 적용 이해 체력 평가에 의해 제공되는 주관적 정보 - 직업과 생활양상, 병력을 포함하는 개인적인 배경에 주관적인 정보를 수집 ->신체활동 수준에 대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음 - 신체활동준비 설문지(PAR-Q) ->심혈관질환의 발병위험률이 높기 때문에 의학적 진단을 받을 필요가 있는 대상자들을 식별 함 ->구조적 상태와 기능적 상태에 대한 중요한 정보들을 제공하는 질문들에 대한 답변을 얻음 ->만성질환에 대한 위험요인들은 물론 운동 능력과 일반적인 운동 양상에 대한 정보들에도 접근 - 여가.. 2019. 6. 9.
나즘 (NASM)-CPT Chapter 3. 심폐계 2편-호흡기계(Respiratory system), 심폐계의 기능 2019/06/01 - [몸연구소/공부 요약] - 나즘 (NASM)-CPT Chapter 3. 심폐계 1편-심혈관계(cardiovascular system) 호흡기계 -폐 시스템(pulmonary system)으로 불림 ->폐로 산소를 운반함과 ->동시에 이산화탄소를 제거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 - 호흡 경로와 좌우 폐, 호흡관련 근육으로 구성 됨 - 적절한 세포기능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한 역할 -외부 환경으로부터 수집한 산소를 혈류로 수송 -이산화탄소를 좌우 폐로 이송하여 외부 환경으로 배출 -호흡펌프의 통합적 기능으로써 이루어짐 ->공기를 몸 안팎과 호흡경로로 순환 시킴 호흡기전 -호흡(또는 환기) ->신체의 안팎으로 공기가 이동하는 실제 과정 ->호흡 펌프(respiratory pump) 및 모든.. 2019. 6. 6.
나즘 (NASM)-CPT Chapter 3. 심폐계 1편-심혈관계(cardiovascular system) 심폐계의 개요 -심장과 혈관 및 혈액을 구성하는 심혈관계 -기관지, 폐포 및 폐를 구성하는 호흡계 심혈관계(cardiovascular system) -심장으로부터 신체의 각 조직으로 혈액을 운반하는 역할 ->심장 ->혈관 ->혈액 1)심장 - 혈액을 신체로 밀어 보내는 근육성 펌프 ->가슴 중앙에 비스듬히 위치 ->척주의 전방과 흉골의 후방에 위치 ->심장의 양 옆 좌우에 두개의 폐가 위치 ->종격으로 알려진 가슴 부위 안에 들어가 있음 ->심장근육은 가로무늬(횡문)인 근절 ->불수의적인 근육 심근의 수축 - 심근섬유는 골격근보다 짧고 빈틈이 없이 연결되어 있음 - 사이원반(개재원반) ->심장세포 사이의 불규칙한 간격의 어두운 밴드 ->수축하는 동안 근육세포를 같이 지탱 ->세포 사이에 전기적 연결을 만.. 2019. 6. 1.
나즘 (NASM) Chapter 1. 통합적 트레이닝을 위한 과학적 인론 통합된 트레이닝과 OPT 모형 - 통합된 트레이닝은 점진적 시스템의 한 부분으로 트레이닝의 모든 형식을 통합시키는 개념. -트레이닝의 형태는 유연성 트레이닝, 심폐 트레이닝, 코어 트레이닝, 밸런스 트레이닝, 플라이오메트릭(반응성) 트레이닝, 스피드, 민첩성 그리고 기민성 트레이닝, 저항성 트레이닝을 포함 1)OPT 모형이란 무엇인가??? -신체 구조적 불균형과 손상 받기 쉬운 사람들을 위한 트레이닝 프로그램 -생리적, 신체적 운동수행능력 적응을 통해 점진적이고 체계적으로 성취하도록 하는 원리의 기반 생리적 이득 •심폐능력 향상 •유익한 호르몬과 혈중 지질 성분의 변화 강화 •대사적 효율의 증가(대사) •골밀도 증가 신체적 이득 •체지방 감소 •제지방 증가 •조직의 장력 강도 증가 수행적 이득 •근력 •.. 2019. 5.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