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NASM-CPT17

나즘 (NASM)-CPT Chapter 10. 밸런스 트레이닝의 개념 2편 밸런스 트레이닝 프로그램 설계하기 - 모든 통합적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핵심 요소 ->인체 움직임 시스템 전체의 궁극적인 신경근의 효율성을 보장 -프로그램 안내, 운동 분야의 기준, 세분화된 프로그램 변수들을 따라야 함 -밸런스와 신경근 효율성 ->다감각 상태의 반복적인 노출을 통해 개선 -목표 ->통제된 불안정성을 창출함 =>안정성의 한계 인식을 지속적으로 향상 =>운동각감의 인지를 지속적으로 향상 밸런스 트레이닝의 단계 - OPT 모형의 체계를 따름 - 신체의 변화를 통해 OPT 모형 세 단계 모두 발전하거나 퇴행할 수 있음 ->운동이 요구하는 면 ->시각적 상태 ->신체 자세 혹은 움직임 -운동이 요구하는 면의 변화 ->난이도에 따라 변화 =>안정된 면에서 불안정한 면으로 옮겨 감 - 시각적 상태 변.. 2020. 6. 23.
나즘 (NASM)-CPT Chapter 10. 밸런스 트레이닝의 개념 1편 밸런스 트레이닝의 개념 - 밸런스를 정의하고 운동수행능력과 부상 위험에서의 역할 - 밸런스 트레이닝의 중요성 - 대상자를 위한 점진적인 밸런스 트레이닝 프로그램 설계 - 프로그램을 설계할 때 선택된 연구 결과의 원리 이해와 통합 - 다양한 밸런스 트레이닝 운동을 수행, 서술, 지도 밸런스의 핵심 개념 - 밸런스(Balance)의 기존적인 정의 ->신체가 균형이 이루어진 상태이며 정지되어 있을 때 - 동적 밸런스(Dynamic balance) ->다양한 조건에 넘어지지 않고 방향을 바꾸고 움직일 수 있는 능력 ->속도, 지구력, 유연성, 근력과 같은 신경근적인 기술에 의해 영향을 받음 - 적절한 힘의 감소와 안정화는 최적의 힘 생성을 위해 필수적임 - 동적 밸런스와 신경근 효율성의 최적 수준을 요구 ->동.. 2020. 6. 20.
나즘 (NASM)-CPT Chapter 9. 코어 트레이닝의 개념 2편 코어 안정화 트레이닝의 과학적 근거 - 만성적인 허리 통증 ->활동 부족으로 감소하고 있는 근육 =>복횡근(transverse abdominis) =>내복사근(internal obliques) =>다열근(multifidus) =>심부척주기립근(deep erector spinae) ->등 폄근이 약하거나 근지구력이 떨어짐 ->몸통 근육 약화만으로도 허리통증 발생의 독립적 위험 인자 - 허리통증의 방지 및 재활에 있어서 코어트레이닝의 역할을 지지 ->코어 안정화 운동 =>다열근의 크기, 활성도, 지구력을 회복 - 특정 코어 트레이닝 프로그램 ->통증을 줄일 수 있음 ->기능과 성능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됨 -국소 안정화 시스템(끌어당기기(drawing in))과 전체 움직임 시스템(버팀(bracing)) ->.. 2020. 6. 19.
나즘 (NASM)-CPT Chapter 9. 코어 트레이닝의 개념 1편 9. 코어 트레이닝의 개념 - 코어 근육계의 중요성을 이해 - 안정화 시스템과 움직임 시스템을 구별 - 코어 트레이닝의 중요성 논의 - 대상자를 위한 코어 트레이닝 프로그램 설계 - 다양한 코어 트레이닝 운동을 수행, 지도 코어 트레이닝의 소개 -트레이닝 목적 ->신체의 몸통을 안정화시키고, 정렬 ->움직이는데 쓰이는 깊은 근육과 얕은근육을 고르게 강화 =>배와","output":"=> 배와","etype":"space"}" data-grammar-id="grammar1" data-grammar-focus="false">배와 등 근육을 발달 시킴 -약한 코어는 불충분한 움직임을 내재된 근본적인 문제로 예측 가능한 패턴의 문제를 일으킴 -코어 트레이닝은 신경근 조절과 안정성, 근지구력, 근력, 코어의 파워.. 2020. 6. 17.
반응형